달력
2018 한국응용언어학회 연구방법론 워크숍
AM 11:00 » PM 5:402018 한국응용언어학회 연구방법론 워크숍:
Scientific Approach to SLA
한국응용언어학회는 2017년에 이어, 올해에도 팽창하는 응용언어학의 연구 분야 중에서 최근 들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최신 연구 분야를 국제적으로 활동하시는 국내 유수의 연구자들을 통해서 소개받고 함께 4차 산업의 시대를 전망하고 준비하는 기회를 마련하였습니다. 뇌과학, AI, Eye-tracking 등, 기존의 언어학을 과학적 방법으로 연구하여 새로운 시대의 주역이 될 응용언어학을 만나보시기를 바라며, 이어서 이러한 과학적 연구결과를 논문으로 작성하는 내용중심의 논문작성에 관한 가르침이 2017년의 문헌연구 작성법에 이어서 국제유수저널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시는 전공교수님에 의해 마련되어있습니다. 새로운 연구 주제를 갈망하는 연구자, 교수님, 대학원생, 학부학생들을 한국응용언어학회의 정성을 모아 마련한 자리에 초대합니다.
주제: Scientific Approach to SLA
일시: 2018년 3월 31일 토요일
장소: 성균관대학교 퇴계인문관 31308/31409
주최: 한국응용언어학회 ☞예비등록: https://goo.gl/forms/gB6Cz3b1i7EBxv6o2
워크숍체어: 고정민 (성신여자대학교)
프로그램
11:00-12:20 | Registration & Book Exhibition | |
11:00-12:00 | EEG and Eye-Tracker Lab Tour (사전예약): 예약마감되었습니다. 정워초과여부는 신청하신 분들께 개별 연락드립니다. (성균관대학교 뇌파측정 실험실 투어: 간단한 실험과정과 Data 분석 시연) | |
12:20-12:30 | 개회식 | |
12:30-2:00 | 최근 연구 동향 패널 토의 발표자: 남호성(고려대학교), 이선영(사이버한국외대), 전현애(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정세훈(한국외국어대학교) | |
2:00-2:20 | Coffee Break | |
| Session 1 (Rm 31308) | Session 2 (Rm 30409) |
2:20-3:20 | 남호성(고려대학교) 인공지능, 언어지능, 그리고 수학 | 전현애(대구경북과학기술원) fMRI studies in the hierarchy of language and non-language domains |
3:20-4:20 | 정세훈(한국외국어대학교) What do eye-movements tell us about language learning? An introduction and methodological guide | 이선영(사이버한국외대) ERP(Event related potential)기반 제2언어 습득 연구 |
4:20-4:40 | Coffee Break | |
4:40-4:50 | 김영우(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연구윤리 | |
4:50-5:40 | 이요안(서강대학교) 영어논문쓰기 2: 연구결과와 논의 어떻게 쓸 것인가? |
2. 등록안내
선착순 사전등록을 받고 있으며 “사전등록의 경우 할인된 등록비”를 받고 있습니다.
사전 등록시 또는 현장에서 연회비를 납부하시면 “할인된 연회비(30,000원->5,000원)”가 적용됩니다.
사전등록이 마감되면 여석이 있을 경우에만 현장등록이 제한적으로 있을 예정이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조기마감의 경우 ALAK 홈페이지에 공지)
사전등록 마감일은 3월 24일(토)입니다.
등록비
구분 | 사전등록 | 현장등록 | 사전등록 또는 현장 납부시 기존회원 및 신규가입회원 연회비 |
학생 (학부생 및 석사과정생) | 20,000원 | 30,000원 | 5,000원 |
일반 (석사졸업이상, 박사과정 포함) | 30,000원 | 40,000원 |
*등록비( 및 연회비)를 아래 학회 계좌로 납부하고 등록자정보입력 링크를 통해 신청자 정보를 입력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입금계좌: KEB하나은행 149-910008-14104 한국응용언어학회
<중요> 계좌 이체 시 입금자명에 반드시 본인의 이름과 "워크숍"이라고 기입해 주시기 바랍니다. [예시: 홍길동워크숍].
2) 온라인사전등록: https://goo.gl/forms/gB6Cz3b1i7EBxv6o2
<중요> 단체입금을 하신 경우도 수강자 정보 작성은 반드시 개별적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유의사항
• 별도의 워크숍 등록 양식은 없습니다.
• 점심은 제공하지 않으며, 워크숍 자료집과 다과만 제공해 드립니다.
( 교수회관 1층과 경영관지하 2층 학생식당을 개별 이용하면 점심식사가 가능합니다)
•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alaksecretary@gmail.com으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 할인주차권은 등록데스크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3. 세션 및 강사 소개
발표 1
발표제목: 인공지능, 언어지능, 그리고 수학
발표자 소개:
남호성 교수는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 재직 중이다. Yale대 Linguistics에서 박사를 받고, 언어학 뿐 아니라, fMRI, EEG, eyetracking을 이용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또한 인공 지능 중 언어 지능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중이다. 관심사는 phonetics, phonology, applied linguistics(L1/L2 acquisition, psycholinguistics, neurolinguistics, English education, etc), computational linguistics, applied mathematics, digital signal processing, computer sciences 분야이다.
발표 2
발표제목: Hierarchy in language and non-language domains
발표자 소개:
전현애 교수는 현재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학원의 뇌·인지과학과에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인지과학 협동과정에서 인지신경과학으로 이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독일 Max Planck Institute for Human Cognitive and Brain Sciences에서 박사후 연구원 및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주요 발표 논문은 2013년 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된 Two principles of organization in the prefrontal cortex are cognitive hierarchy and degree of automaticity, 2014년 Journal of Neuroscience에 발표된 Functional network mirrored in the prefrontal cortex, caudate nucleus, and thalamus: high-resolution functional imaging and structural connectivity, 2015년 Trends in Cognitive Sciences에 발표된 리뷰논문 Degree of automaticity and the prefrontal cortex등이 있다. 주요 연구 관심사는 언어/비언어 도메인에서의 sequence 처리와 전전두엽의 기능이며 fMRI 및 신경심리학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발표논문:
Jeon, H. A,, & Friederici A. D. (2013). Two principles of organization in the prefrontal cortex are cognitive hierarchy and degree of automaticity. Nature of Communications. 4, 2041.
Jeon H. A., Anwander, A,, & Friederici, A. D. (2014). Functional network mirrored in the prefrontal cortex, caudate nucleus, and thalamus: High-resolution functional imaging and structural connectivity. Journal of Neuroscience. 34, 9202–9212.
Jeon, H. A, & Friederici, A. D. (2015). Degree of automaticity and the prefrontal cortex.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19(2), 244–250.
Jeon, H. A, Anwander, A., & Friederici A. D. (2017). What Does “Being an Expert” Mean to the Brain? Functional Specificity and Connectivity in Expertise. Cerebral Cortex, 27(12), 5603-5615.
발표 3
발표제목: What do eye-movements tell us about language learning? An introduction and methodological guide.
발표자 소개:
정세훈 박사는 2017년 5월 Michigan State University에서 응용언어학 학위과정을 마치고,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테솔대학원 강의를 맡고 있다. 박사과정중 SLS아이트래킹 연구소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며 아이트래킹 실험설계 및 데이터분석관련 컨설팅과 아이트래킹 트레이닝과 워크샵 진행 등을 담당하였다. 학위논문에서는 학습자의 L2몰입시작연령과 작업기억이 통사적 언어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었으며, 주요논문으로는 2017년 Studies in Second Language Studies에 발표된 Production and Comprehension in Processability Thoery (2저자) 와 2015년 동 저널에 발표된 Timed and Untimed Grammaticality Judgments measure distinct types of knowledge (3저자) 등이 있다. 주요 연구 관심사는 아이트래킹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자의 어휘 및 통사적 언어처리과정 연구와 아이트래킹 연구방법론이다.
발표논문:
Spinner, P., & Jung, S. (2017). Production and Comprehension in Processability Theory: A Self-paced Reading Study.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First View, 1-24. DOI: 10.1017/S0272263117000110.
Godfroid, A., Loewen, S., Jung, S., Park, J., Gass, S., & Ellis, R. (2015). Timed and Untimed Grammaticality Judgments Measure Distinct Type of Knowledge: Evidence from Eye-Movement Patterns.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37, 269-297. DOI: 10.1017/S0272263114000850
발표 4
발표제목: ERP(Event related potential)기반 제2언어 습득 연구
발표자 소개:
이선영 교수는 현재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부에 재직 중이다.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에서 언어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University of Maryland at College Park 에서 제2언어습득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주요 발표 논문은 2008년, Language Learning 에 “Argument-adjunct asymmetry in the acquisition of inversion in wh-questions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를 발표하였고, Applied Linguistics 에, “A note on canonical word order” (2005). Journal of National Council of Less Commonly Taught Languages 에 “Correlation of Proficiency with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in Spoken and Written Production: Evidence from L2 Korean” (2016) 등을 발표했으며, Handbook of East-Asian Psycholinguistics, Vol 3: Korean (Cambridge University Press)에 “The acquisition of Korean numeral classifiers” (2009) 등을 발표했다. 주요 관심사는 제2언어습득, 심리언어학, 신경언어학,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습득,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의 언어처리, 게임이용 영어학습 등이며, 최근 관련된 연구과제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에 대한 ERP 뇌반응연구: 학습자의 제 2 언어 숙달도 및 모국어 영향을 중심으로,” “자폐범주성장애 청소년의 담화-통사 구조의 실시간 처리와 이해에 관한 안구추적과 사건관련전위 연구,” “한국어 음소, 문장, 담화 처리에 대한 뇌인지과학적 접근: 모어화자와 학습자를 중심으로,” “초등영어 기능성게임 효과성 측정을 통한 뇌과학 기반 평가도구 개발연구,”, “기능성게임 성과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발표논문:
Kim, Y., Nam, J., & Lee, S. Y. (2016). Correlation of Proficiency with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in Spoken and Written Production: Evidence from L2 Korean. Journal of National Council of Less Commonly Taught Language (JNCOLCTL), 19, 147-181.
Lee, K. O., & Lee, S. Y. (2009). The acquisition of Korean numeral classifiers. In J.-M. Lee,, Y. Kim, & G. Simpson (Eds.) Handbook of East-Asian Psycholinguistics, Vol.3: Korean. (pp. 137-149).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Lee, S. Y. (2008). Argument-adjunct asymmetry in the acquisition of inversion in wh-questions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Language Learning, 58(3), 625-663.
O’Grady, W., Yamashita, Y., & Lee, S. Y. (2005). A note on canonical word order. Applied Linguistics, 26(3), 453-458.
발표 5
발표제목: “영어논문쓰기 2: 연구결과와 논의 어떻게 쓸 것인가?”
발표자 소개:
이요안 교수는 The Ohio State University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시카고의 DePaul University에서 조교수를 역임한 후 2007년부터 서강대 영문과 교수로 재직해왔다. 주요 연구분야는 담화분석 (Discourse/Conversation Analysis)과 영어글쓰기 (Writing Studies)이며 TESOL Quarterly, Modern Language Journal, Applied Linguistics, Discourse Processes, Text & Talk, System등의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였다. TESOL Quarterly의 편집위원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Classroom Discourse의 편집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2011년에 서강대에 글쓰기 센터를 설립한 후 2017년까지 센터장직을 맡아왔으며 영어쓰기와 관련한 워크숍과 강연을 수행하여 왔다.
발표논문:
Lee, Y. (Forthcoming). Tracing teachers' ordering decisions in classroom interaction. In Markee, N., & Kunitz, S. Emerging issues in classroom discourse and interaction. Springer: New York.
Lee, Y. (2016). Quality of coherence among passages in source-based writing by Korean writers of English.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Teaching, 22(4), 271-292.
Lee, Y. (2015). Negotiating knowledge bases in pedagogical discourse: Relevance of identities to language classroom interactions. Text & Talk, 35(5), 621-642.
Lee, Y. (2015). Summarization and argumentation in EFL text-based writing. Language & Information Society, 24, 95-124.
Lee, Y., & Hellermann, J. (2014). Tracing developmental changes through conversation analysis. TESOL Quarterly, 48(4), 763-788.
Hellermann, J., & Lee, Y. (2014). Members and their competencies. System, 44, 54-66.
Lee, Y. (2013). Descriptions of L2 interaction. Modern Language Journal, 97, 853-856.